세계의 끝, 문학

13,860원 15,400원
기본 할인1,540원
적립금 3%
기본 적립3%
배송비 -
추가 금액
수량
품절된 상품입니다.
주문 수량   0개
총 상품 금액 0원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밴드

분  야 : 문학 도서명 : 세계의 끝, 문학 부  제 : 장이지 비평집 발행일 : 2017년 1월 10일  저  자 : 장이지

발행날짜: 2017년 1월 10일 출판사 : 파우스트 정  가 : 15,400원 페이지 : 370쪽 사이즈 : 152*215 바코드 : 979-11-87494-06-5 부가기호 : 03800 책소개 장이지 시인의 비평집 『세계의 끝, 문학』은 2013년 이후 여러 문학매체에 발표한 글들을 모은 것으로 첫 비평집 『환대의 공간』(현실문화, 2013)을 출간한 이후 3년 만에 낸 비평서다. 이 책에는 문학 환경의 변화나 문학의 위상에 대한 장이지 시인의 일관된 사고와 고민이 담겨 있으며, 그와 관련해 오랫동안 사색해온 만큼 시인만의 날카로운 통찰이 잘 드러나 있다. “한국문학에 대한 내 고민을 가장 솔직하고 드러내고 있다”고 말하고 있는 장이지 시인의 말대로 한국의 문학 환경의 변화에 따른 여러 가지 징후들과 그것이 표출되어 나타나는 문학작품들에 대해 시인의 솔직한 시선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지은이 소개

장이지 (張怡志) 성균관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및 동대학원 졸업. 문학박사. 2000년 『현대문학』 신인추천으로 시인이 됨.  시집으로 『안국동울음상점』(랜덤하우스, 2007), 『연꽃의 입술』(문학동네, 2011), 『라플란드 우체국』(실천문학, 2013), 평론집으로 『환대의 공간』(현실문화, 2013), 『콘텐츠의 사회학』(서랍의 날씨, 2015) 등이 있음. 김구용시문학상(2012), 오장환문학상(2014) 등 수상. 현재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조교수. 

차례 Ⅰ 거대한 풍물기 : 근대문학 이후, 패러다임의 변화15 대중성, 혹은 대중에게 열려 있다는 것28 아름다움은 개칠 改漆하지 않는다 : 미래의 서정에 부쳐44 인공지능 시대의 시 쓰기와 인간성65 탈정서적인 경향과, ‘주체’의 문제 : 2008년 이래의 시적 현상들에 대한 반성적 고찰77 공위시대의 불안과 그 시적 대응들 변곡점 위의 시인들97

Ⅱ ‘필생 畢生’의 수사학 : 『강우식 시전집』 전후113 초월의 시도와 그 좌절, 그리고 어머니의 가호를 받는 잠 : 시집별로 본 박형준의 시 세계133 자연 속에서 그 일원으로 위대해지기, 의연한 자의 자기단련 : 손택수와 그의 시에 대해157 세계의 끝, 혹은 언어의 혼혈 : 이영주 근작시의 풍경 안팎171 리얼리즘의 진화를 꿈꾸는 비평/정치 : 사실수리를 격파하는 고명철 비평의 정치성185

Ⅲ 경계에 드러누운 자의 뭉클한 서정 : 신동옥 시집 『고래가 되는 꿈』203 폐쇄회로의 시니시즘 : 황인찬 시집 『희지의 세계』216 달콤한 상처 : 서윤후 시집 『어느 누구의 모든 동생』229 남방 푸른 해원 저편, 낯설고 아름다운 UFO의 반짝거림 : 현택훈 시집 『남방큰돌고래』241

Ⅳ 철과 나무의 듀엣, 그 음악의 구조 『철과 오크』의 출간에 즈음하여261 욕망이여 입을 열어라 미디어·도시·문학280 쇼핑몰, 테마파크, 사이버스페이스가 아닌 다른 곳 환대의 공간에 대한 명상307

Ⅴ ‘자본주의-일신교-국가’라는 체제의 바깥에 대해 사유하기 : 나카자와 신이치의 『대칭성인류학』 317 분노하면서 한편으로 즐겁게 : 이토 마모루의 『정동의 힘』322 인간을 찾기 위한 집념의 도정 : 고미카와 준페이의 『인간의 조건』327 군함도와 나가사키에서 발굴된 ‘사람과 사랑의 기억’ : 한수산의 『군함도』333 제주인 디아스포라, 재일 在日을 살다 : 김시종 자전, 『조선과 일본에 살다』338 여성 혐오 사회에서 사는 불행 : 우에노 치즈코의 『여성 혐오를 혐오한다』344 ‘코드 2.0 시대’의 사이버 공간과 헌법적 가치 : 『코드 2.0』350 명랑한 학교괴담과 만화 애니메이션적 상상력 정세랑의 『보건교사 안은영』353 경험과 레시피의 결합 형식, 혹은 노년의 한끼 강우식 시집 『꽁치』358 고통과 분노 속에서 꿈틀대는 ‘벌레들’의 신화적 시간 이재훈 시집 『벌레 신화』363

출판사 서평

서문 문학계의 사건들을 몇 가지 짚고 넘어가고 싶다. 첫째, 민음사의 문학 계간지 『세계의 문학』 폐간과 『릿터』 창간. 『릿터』 창간호에 아이돌 스타 ‘종현’ - 보이 그룹 ‘샤이니’ 보컬 - 의 인터뷰와 사진이 게재되었다는 것은 사뭇 획기적인 일로 여겨진다. 『세계의 문학』이 세계문학의 고전들을 소화하면서 한국문학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고자 한 민음사의 전망을 대변하고 있었음을 상기할 때, 『릿터』의 변화는 매우 급격한 것이었다. 둘째, 독립잡지 붐. 이 붐은 ‘신경숙 표절 사건’과 거의 동시에, 혹은 조금 뒤미처 일어났다. ‘신경숙 표절 사건’은 근대문학 제도의 유효성에 대한 여러 파생 담론들을 발생시켰거니와, 이 담론들이 대형출판사 중심으로 돌아가는 문학계의 환경에 작은 파열부를 만들어낸 것이 독립잡지 붐의 형태로 불거졌다고 볼 여지가 있다. 독립잡지가 주류 대형잡지에 대한 대안 매체로서 등장한 셈이다. 독립잡지의 체제를 살펴볼 때, 가장 주목되는 것은 ‘비평의 소거 消去’ 현상과 일반인 투고란의 마련이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복잡하지만, 그 방향은 독자 친화적이라고 비교적 단순하게 말할 수 있다. 셋째, 문단 내 성폭력 사건. 이 사건은 ‘문단’을 참칭한 일부 파렴치한 문인들이 일으킨 추문이지만, 그것을 넘어서 등단제도나 문예창작학과 시스템, 입시제도 등 근대문학을 떠받치고 있는 제도의 어두운 면이 조장한 범죄로 다루어야 할 면도 있다. 그 사건에 나이 든 권력자들뿐 아니라 젊은 문인들이 포함된 것은 대형출판사들이 경쟁적으로 마련한 스타시스템의 부작용 탓도 있다. 다음으로 일본에서 일어난 몇 가지 사건들을 여기에 덧붙여두고 싶다. 첫째, 구로다 나쓰코 黑田夏子가 일흔이 넘은 나이에 아쿠타카와상을 수상했다는 것. 대형 잡지사의 작품이 아니라 『와세다문학』에 실린 작품이었다는 것이다. 가로 쓰기를 하고 있다든지 히라가나 중심의 글쓰기였다고 하는 것 등은 부차적인 문제인지도 모르겠다. 둘째, 아베 가즈시게 阿部和重와 이사카 고타로 伊坂幸太郞가 『캡틴 선더볼트』2014라는 장편소설을 ‘합작’으로 내놓은 것. 순문학과 장르문학의 결합이라는 맥락에서 이 사건은 세간에 널리 회자되었다. 그런데 한국의 풍토에서 보면, 이 사건은 ‘합작’이라는 사실만으로도 화제가 될 만한 일이었다. 셋째, 코미디언 마타요시 나오키 又吉直樹의 아쿠타카와상 수상 2015. 여기에 여러 말을 덧붙일 필요는 없을 것이다. 그의 수상작 『불꽃』은 이미 국내에도 번역·소개되었다. 이 세 가지 사건은 사사키 아타루(佐佐木敦)에 의해 ‘문학의 상대화’라는 맥락에서 조명된 바 있다 『ニッポンの文學』, 講談社, 2016.

2010년대 한일 양국에 걸쳐 일어난 이상의 사건들을 물론 ‘문학의 상대화’라는 말로 압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대화’라는 말은 사태의 심대함을 담아내기에는 부족해 보이는 면도 있다. 더 거시적으로는 ‘근대의 종언’이라는 맥락이 여기에 작용하고 있다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세계의 끝!’ 섬광과 폭음이 없는 ‘끝’, 말하자면 ‘신념의 부서짐’이라고 할 만한 ‘세계의 끝’을 우리는 경험하고 있다. 근대인을 멸절시키는 빅뱅은 없다. ‘세계의 끝’은 근대인들이 앞으로 살아가야 할 지리멸렬한 세계의 대명사로서 우리 앞에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이 ‘세계의 끝’에서 근대적 작가들이 대면하게 되는 것은 아즈마 히로키 東浩紀 식으로 말하면 ‘동물화한 독자들’이다. 여기서 ‘동물’이란 ‘문학의 규칙’에 익숙해져버린, 문학을 ‘공략집’과 같은 일종의 매뉴얼로서 수용해버린 ‘길들여진 독자’를 의미한다고 해도 좋다. 더 엄밀하게 말하자면 ‘독자’가 아니라 이미 ‘소비자’가 되어버린 사람들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소비자’라는 말에서 이미 드러나듯이 ‘세계의 끝’은 모든 가치가 교환가치로 치환되어버리는 ‘말류 자본주의 사회’다. 이곳에서 문학계는 연예계처럼 바뀌어버린다. 스타와 뚜쟁이가 있고, 문학은 잘 모르는 팬 클럽이 득세한다. SNS는 마케터들이 침을 흘리는 공간으로 주목 받는다. 모든 문학 행사에 텔레비전 쇼의 요소가 가미된다. 분명하게 말할 수 있는 것은 이 모든 문화의 위기 현상은 불가역적이라는 사실이다. 말하자면 ‘진지한 독자들’과 ‘진지한 비평’이 존재했던 시대로는 되돌아갈 수 없다.  ‘엘리트 근대’는 종종 향수의 대상이 된다. 그러나 현실은 강의 시간에도 스마트폰을 놓지 못하는 낯선 대학생들이 다수를 점하고 있는 강의실을 보면 어느 정도 알 수 있을 것이다. 문학의 리터러시는 현격하게 낮아졌고, 문학은 이제 학생들의 안중에는 없는 것이 되었다.  그러나 탄식을 한다고 해서 달라지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근대는 이미 끝장이 난 것이다. 그리고 그 부스러기로서 제도적 장치들은 일제히 삐걱대는 소리를 내더니 여지없이 불쾌한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굵직한 표절 사건이 일어나고, 문단 내 성폭력 사건이 삐져 나왔다. ‘등단 장사’나 ‘시집 장사’의 문제도 어디선가 터져나오지 말라는 법이 없다. 

지금 우리가 결별해야 하는 것은 근대의 낡은 제도들이다. 신춘문예나 신인추천제를 통해 작가를 만들고, 문학상 제도를 통해 작가를 관리하는 방식을 바꾸지 않고는 앞으로 더 나아갈 수 없을지 모른다. 작가가 되지 않아도 인생에 실패하는 것은 아니라고 가르치는 문예창작학과 선생님들이 더 많아져야 한다. 작가가 되기 위해 작품을 쓰는 것이 아니라 가슴 속에 쓰고 싶은 열망이 있고,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작품을 쓰는 것이라고 말하는 문학청년들이 더 많아져야 한다. 시인은 아니지만 시인보다 더 아름다운 말을 하는 시민이 있고, 소설가는 아니지만 소설가보다 더 멋진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시민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출판사나 잡지사의 위계에 따라 ‘신분’이 달라지는 문학계의 서열주의를 극복하지 않고는 문학을 하는 사람들이 더 이상 행복해질 수 없다. 그것을 문학을 하는 사람들이 먼저 깨달아야 한다. 기존의 잡지 생태계를 교란하는 새로운 매체를 스스로 만들고 주변의 지인들과 함께 향유하는 데서 작은 기쁨을 찾을 수 있다면 그보다 더 좋을 수는 없을 것이다. 거기에서마저 등단한 사람이나 등단하지 않은 사람을 구분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런 구분 없이 누구나 쓸 수 있고, 누구나 다른 사람에 의한 비평을 받을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것이 좋다.  새로운 문학, 혹은 다른 문학의 시대를 열기 위해서는 그렇게 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미래의 문학도 역시 근대문학의 이상 理想을 계승하는 한에서만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으리라는 것이다. 즉, 타인을 이해하는 것이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라고 해도 타인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문학은 그 인간 이해에 복무한다는 것 말이다. 속 시원하게 포스트모던으로 넘어가지 못하고 정말 답답한 말을 한다고 하는 독자들의 비난이 귓전에 들리는 듯하지만, 이것이 내가 ‘세계의 끝’에서 발견한 ‘윤리’라면 ‘윤리’다.

이 책은 2013년 이후 각종 문학매체에 발표된 글들을 엮은 것이다. 첫 평론집 『환대의 공간』현실문화, 2013이 나온 지 3년여 만의 저서인 셈이다. 조금 무리를 해서 많은 글을 써왔고, 그것을 정신없이 엮은 것이기 때문에, 이 책이 어떤 일관된 기획 속에서 쓰였다고는 할 수 없다. 거의가 시의적인 글들이다. 『환대의 공간』에서 많이 벗어난 논의를 하지는 못했다. 전작과 마찬가지로 나는 문학환경의 변화나 문학 자체의 위상에 대해 고민을 해왔다. 이 책에서는 전작에 비해 ‘독자’에 거는 기대치가 높아진 편인데, 그것은 잡지 생태계에 변화의 조짐이 일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독립잡지를 거점으로 하여 ‘즐겁게 놀 수 있는 독자’라면 기대를 걸어봐도 좋지 않을까 하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두서없이 여기저기 발표한 글들을 엮은 것이지만, 그래도 이 책은 한국문학에 대한 내 고민을 가장 솔직하게 드러내고 있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제주도에 자리를 잡은 지 어느덧 2년이 흘렀다. 이 책에 실린 글들은 대부분 제주도에서 쓴 것이다. 서울에서 멀리 떨어져나와 서울 중심의 문학계를 보고 있으면, 서울에서 안 보이던 것들도 더러 보인다. 서울에서 할 수 없었던 말을 여기에서는 할 수 있다. 그런 용기가 생긴다. 이 책은 제주도의 독립출판사 ‘파우스트’를 통해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독립출판사를 통해 책을 내는 것은 내게는 하나의 실험이다. 이것이 대형 출판사 중심, 대형 온라인서점 중심의 문학 생태계를 교란할 만한 실험은 아니지만, 거기에 동의하고 편승하는 방식이 아니라는 면에서 그 의미가 아주 없지는 않다고 자평하고 싶다. 출판을 떠맡아준 ‘파우스트’의 홍임정 선생님, 안민승 선생님께 심심한 감사의 인사를 전하고 싶다. 2016년 세모 장이지

글쓴이
비밀번호
비밀번호 확인
평점 주기
작성된 후기가 없습니다.
후기 수정
글쓴이
평점 주기
목록으로 가기

세계의 끝, 문학

13,860원 15,400원
추가 금액
수량
품절된 상품입니다.
주문 수량   0개
총 상품 금액 0원
재입고 알림 신청
휴대폰 번호
-
-
재입고 시 알림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밴드
floating-button-i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