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치유는 어디서부터 시작되는 것일까.
경번의 소설은 소금이다. 상처에 소금을 뿌리면 아픈 곳을 더 후벼 파듯 쓰리고 따갑다. 애써 감춰 두었던, 아무에게도 말하고 싶지 않은 상처를 따갑게 한다. 상처가 난 자리가 여기라고 알려 준다. 속을 뒤집어 꺼내어 보게 만든다. 아픔을 직시하면서 한바탕 울게 만든다. 울고 나면 다시 잘 싸매어 깊은 곳에 넣어 놓을 수 있다. 쓰디쓴 칡뿌리도 계속 씹으면 단맛이 나는 것처럼 잘 넣어 둔 상처를 오래 곱씹으면 달아진다. 달아진 상처는 나를 살게 한다.
치유는 내 안에서 상처를 씹고 씹어서 달아질 때 시작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때로 우리는 타자의 공감이나 지지로 슬픔을 위로받을 수 있다. 하지만 어떤 아픈 기억들은 아무도 나를 위로할 수 없다. 온전히 나만이 위로할 수 있는 슬픔이 있다. 그러므로 나로부터 출발해서 내 안에서 끝나는 치유야말로 가장 온전한 치유라고 생각한다.
“이 모든 고통이 아마도 자기 자신을 통해서 달래진다는 것을 희미하게 깨달아 가고 있다.”
깊은 막장의 심연에서 채굴해 올린 그녀의 언어는 유독 꽃의 이미지를 자주 사용한다. 이는 그녀가 하릴없이 마주하는 절망 속에서도 희망의 실낱같은 염원을 강렬하게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그 쓰디쓴 진창에서 피어난 꽃 같은 언어들이 여러분의 영혼을 어루만질 것이다. 겉으로는 무심하게 주머니에 손을 넣지만, 강렬한 감정을 숨기고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이 소설집은 강력한 최면제로 삶을 위로한다.
경번의 글은 상처를 남기는 가시처럼 독자의 마음 깊숙이 박히고, 한 번 찔린 마음은 잊을 수 없다. 그녀의 글은 생생하게 아스라한 슬픔과 연민 그리고 여운의 향기를 머금고 있다.
<저자 소개>
경번
국어국문학과, 문예창작과 대학원, 임상심리상담 대학원 졸업. 글쓰기·문학·독서·영화·사진(통합매체)을 활용한 심리상담을 가르치면서 상담사이자 치유사로 소설가로 활동. 1995년 한국여성문학상, 2020년 《문학과의식》 신인상, 소설 동인집 『신소설』, 2024년 김포문화재단 예술활동창작기금 받음.
<작가의 말>
먼 길을 돌아와 읽고 쓰기의 수난을, 백지에 문장을 쏟아 내는 일을 기어이 하고 있다. 나에게 쓰는 일은 어느새 하고 싶은 것들에서 우선순위가 되었다.
글쓰기의 삶이 가진 진의를 고유한 인장으로 자연스럽게 새기고 있는 듯하다.
앞으로의 여정에서도 지치지 않고 부지런히 쓰는 사람으로 살아가고 싶다.
그리하여 오래전부터 꿈꾸던 솟대를 향하여 한 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기를 소망한다.
책이 가진 운명에 따라 그 누군가에게 가 닿았을 때 부디 아프지 않기를 바란다.
경험만으로는 대신할 수 없는 다양한 이야기가 어딘가에서 다시 나를 기다리고 있을 것 같다.
<목차>
추천사 │ 채희윤 (소설가)
경번이라는 작가에게 부치는 글 007
여는 글 │ 김윤정 (서평가)
젖은 속옷을 말리는 일 014
마침내 서서히, 빈 집 021
사우다드 053
화담 087
진홍토끼풀밭에 밤이 내리면 115
연화, 마주치다 149
너를 기억한다 175
굿문, 시인의 까망 이슬 205
해설│이송희 (시인 · 문학평론가)
집의 부재, 떠도는 주체들 227
작가의 말 253
<책 속으로>
자식을 먼저 잃은 여자들 모두가 하나도 아프지 않아서 멀쩡히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_「마침내 서서히, 빈 집」
그 틈으로 샛노란 부리를 가진 어린 새들이 쏟아져 나온다. 새들은 일제히 여자의 품속으로 날개 짓하며 들어온다.
_「마침내 서서히, 빈 집」
다시는 볼 수 없는 그 시절 모든 것들은 천천히, 그러나 확실하게 멀어져 간다. 기억의 행복과 결핍의 슬픔은 여전히 입에서 터지는 탄산의 죄책감이 되어, 달콤하지만 씁쓸한 기억으로 위안을 받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사랑으로 봉인封印해 유한한 감정으로 가져갈 것이라면 그녀는 절절히 앓고 있는 이 순간을 무엇이라 말할 수 있을까.
_「사우다드」
그러니까 당신이 있어야만 비로소 존재하는 것에는 그에 맞는 언어가 있다고, 담담하게 무언가를 위로하듯이, 이 모든 고통이 아마도 자기 자신을 통해서 달래진다는 것을 희미하게 깨달아 가고 있다.
_「사우다드」
사람들은 언제나 무엇엔가 거창하기를 바라고 있는 것일까? 그 기사들을 읽고 사람들은 사실과 진실을 누구에 의해 평가받고 증명되기를 바라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 그래서 자네들이 글과 말이라는 부채를 들어 바람을 일으키고 그렇지 않을까? 아무쪼록 자네가 뭐 대단한 전통적인 기자다움보다는 내 편다움으로 어디서나 솔직한 사람이길 바라네.
_「화담」
노송에 줄기를 타고 긴 이파리 사이사이마다 황금색 꽃들이 주렁주렁 풍경처럼 매달려 있는 모습이 선하게 그려지는 듯하네. 바람이 불면 수많은 풍경 소리가 들리는 듯한 흔들리는 나뭇가지 선율. 그러다 비바람이라도 몰아치는 날이면 화단과 마당에 황금빛 통 꽃들이 융단을 깔았다고 하니, 낙화의 모습은 비장하기까지 했겠구먼. 참으로 처연한 그 모습은 동백꽃이나 석류꽃의 낙화에 못지않았을 것 같아.
_「화담」
일상을 슬쩍 지우고 사사로운 부딪침이나 여러 관계들을 전체적으로 보게 해 주는가 하면 좀 더 너그러워지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고 했다.
‘사물과 세계를 있는 그대로 직시하게 되고 모든 게 맑아지는 느낌이 다른 무엇보다도 좋다는 걸까?’
_「진홍토끼풀밭에 밤이 내리면」
바람이 소리 없이 눈을 몰고 지나갔다. 쏟아지는 눈 속에서 그리움도 열정도 꿈과 현실도 모두가 아득하게만 여겨졌다.
_「진홍토끼풀밭에 밤이 내리면」
수직으로 쏟아지는 팔월의 햇볕은 따가웠지만 연신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은 감미로웠다. 바라보고 있자니 절로 머리가 맑아지고 가슴속이 환하게 트이는 듯했다. 한차례 지나간 소나기는 또 다른 별세계를 보여 주었다. 초록 연잎 위에 수많은 흰 물방울들이 부딪혀 깨어지고 굴러떨어지는 모습이 참으로 아름답기 그지없었다. 연못가를 거닐면서 어느덧 실망 대신 황홀한 행복감에 젖어 들었다.
_「연화, 마주치다」
때로는 이런 것이 참 이상했다. 아무 예상이나 의심 없이 비슷한 하루를 지내다가 비슷한 걸음으로 비슷한 시간에 비슷한 거리를 걸었다고 생각했는데 결과가 늘 같기만 한 것은 아니라는 게.
_「연화, 마주치다」
“살다 보면 누군가를 이해하는 데 실패할 때가 많아. 간혹 염오할 때도 있지만 사랑하는 마음만큼은 희미하게 남아 있는 거잖아. 인간에 대한 어렴풋한 애정이 너를 지탱해 줄 거야.”
_「너를 기억한다」
시간은 흘러가는 게 아니라 이렇게 자꾸 오는 그것이라는 말을 떠올릴 때마다 추억을 통해 인생은 천천히 지나간다는 말도 함께 떠오른다. 불경한 꽃말이 없듯이 추악한 추억도 없는 것이다. 그토록 견딜 수 없던 시간도 지나고 나면 다시 그리워지니 시간이란 얼마나 많은 어제를 집어삼킨 구멍인가 생각했다.
_「너를 기억한다」
그런 죽음을 통해 삶과 죽음은 앞모습과 뒷모습, 실체와 그림자처럼 아주 딱 붙어 다닌다는 것을 알았다. 단지 뒷모습은 앞모습을 볼 수 없고, 그림자는 실체를 볼 수 없으며, 죽음은 삶을 볼 수 없다는 차이뿐이었다.
_「굿문, 시인의 까망 이슬」
<서지 정보>
제목: 화담
저자: 경번
발행일: 2024년 11월 9일
쪽수: 256p
판형: 134*200mm
가격: 17,000원
ISBN: 979-11-976820-7-0
화담 / 경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