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최저임금으로 구할 수 있는 삶
최저임금으로 해할 수 없는 삶
“지금 내게 주어진 건 비상 연락처 하나와 투토콜로레(Tutto Colore)라고 불리는
아동복 공장에 취직했다는 사실뿐이다.
이탈리아 억양을 흉내 내본다. “뚜우또— 꼴로오레—” 모든 색상이라는 뜻이다.
앞으로 펼쳐질 공장노동자의 무채색 삶을 떠올리면 아이러니한 사명이다.
기획기사를 쓰기 위한 조건은 엄격하다.
신분을 숨긴 채 일할 것. 그 누구도 진짜 정체를 알아서는 안 된다.
이 회사에서 받는 급여로만 살 것.
월세, 식비, 교통비까지 모조리 이것으로 해결해야 한다.
원래 가지고 있던 돈과 물품은 전부 보고타에 두고 간다.”
콜롬비아의 기자이자 작가 안드레스 펠리페 솔라노는 2007년의 더운 계절,
6개월간 다른 사람으로 살아보기로 결심한다.
「나르코스」의 배경 메데인(Medellín) 13구로 가서 최저임금 노동자가 되기로 한 것이다.
콜롬비아 제1도시인 보고타에서 젊은 나이에 일간지 편집장으로 윤택한 생활을 하던 그에게는
어쩌면 모험이 필요했고, 원래 자리로 돌아올 수 있다고 약속하는 장기간의 취재 프로젝트는
거절하기 어려운 제안처럼 느껴졌다.
그는 한화 20만 원에 그치는 월급에 제 몸을 맞추어보았다.
매일은 아니라도 주말 하루이틀쯤은 음악을 듣고, 술 한잔을 기울인다고 하는
주관적인 인간의 조건을 쟁취하기 위해 그는 고강도의 노동을 하루하루 치러나간다.
일하는 동안은 음악을 들을 수 없고, 퇴근길에서 마주치는 추러스에 마음을 뺏겨서는 안 되는 생활이다.
그는 반년간의 생활에서 ‘투토콜로레’(모든 색상이라는 이름을 지닌 섬유공장)에 스며들지 않고,
끝내 이방인으로 남는다.
애초에는 떠나야 할 곳에 강렬하게 짓눌렸거나, 돌아갈 곳을 철저하게 상기했기 때문이리라.
그러나 누군가가 떠나서 출발지로 돌아왔을 때 그는 더는 떠나기 전의 자신일 수 없음을 이 이야기는 암시한다.
단 반년간만 다른 사람으로 살고 싶었던 젊은 노동자는,
지금 이 순간에도 2007년과 전혀 다른 조건에서 전혀 다른 개체로서 살아가고 있다.
(이에 관해 더 깊이 알고 싶다면 『한국에 삽니다』와 『열병의 나날들』을 참고하라.
모국과 지리적, 문화적으로 정반대에 있는 한국에서 그는 여전히 경계를 서성인다.)
‘최저임금’이라는 스페인어 ‘살라리오 미니모’에서는 시큼한 땀냄새와 남미 리듬이 진동한다.
『살라리오 미니모』는 최저임금이 가까스로 지탱해주는 삶보다는, 그것이 해할 수 없는 최저 아닌 삶의 한순간을
개인성의 필터로 포착한 주관적인 결과물이다.
정의(正義, 定義)를 담지 않았기에, 읽은 사람으로 하여금 오히려 그것들을 모색하게 하는 독특한 수기다.
<작가의 말>
제가 사는 서울 해방촌의 한 골목에서 몇 걸음을 내려가면 시멘트로 된 계단이 나옵니다.
그 계단을 따라 솟아 있는 벽의 끄트머리에는 작은 흰색 문이 하나 있는데,
언제나 자물쇠로 굳게 잠겨 있어 창고 정도로 생각했습니다.
초여름을 앞둔 어느 날 오후, 그 문이 열려 있었습니다. 안쪽에서는 음악이 흘러나왔죠.
그 앞을 지나며 곁눈질로 슬쩍 보니 벽에는 옷 몇 벌이 단출하게 걸려 있고, 사람 그림자가 보였습니다.
바로 붙어 있는 옆집의 주인이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넣어두는 곳이라고 짐작했으리만큼 좁다란 공간에서,
침대에 앉은 한 남자가 양말을 개면서 노래를 흥얼거리더군요.
거기에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얼마나 오래 그곳에서 살았을지 가늠해보려고 했습니다.
문득 15년 전, 메데인에서 보았던 닮은 광경이 기억났습니다.
메데인은 「나르코스」(2015–)라는 드라마 덕분에 저의 한국 친구들마저 주인공이 내뱉던 욕을
재미로 흉내 낼 정도로 유명한 도시가 되었지만, 저는 메데인이라는 이름에서 무자비했던 콜롬비아의 1990년대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지금도 명확하게 누구라고 특정하기가 무서울 정도로 극악한 마약업자들이 설치한 폭탄 차량이
길거리에서 수시로 터지던 시절이었습니다.
2007년의 어느 하루, 저는 바로 그 도시에 자리 잡은 독 신 노동자들이 주로 모여 살던 지역을 찾아가 값싼 셋방 을 알아보고 있었습니다.
한 건물에 들어가 집주인을 따라 둘러보며 복도를 지나던 중에 우연히
문이 열려 있던 방의 내부를 들여다보았습니다.
벽에는 옷 몇 벌이 걸려 있었고 한 남자가 침대에 앉아 있었습니다.
윗도리를 벗고 있던 남자가 낮은 음성으로 노래를 흥얼거리며 냄비 째 식사하던 풍경이 생생합니다.
가난한 두 남자. 둘 다 독신이지만 한 명은 콜롬비아인이고 다른 한 명은 한국인입니다.
어쩌면 그 둘은 젊었을 때 지구 반대편에 있는 비슷한 공장들에서 각각 일했던 경험이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제가 6개월 동안 살았던 삶처럼요. 그들과 다른 점이라면 저는 책을 쓰기 위해 그 삶을 선택했었다는 것이고,
이전의 삶으 로 돌아왔다는 점입니다.
물론 돌아온 삶은 엄밀히 말해서는 이전과 같지 않았습니다.
이 책을 그 남자들, 그 여자들, 세계 곳곳에 흩어져 있는 그들에게, 고된 공장일과 아무것도 꿈꿀 수 없는 임금 속에서도 초여름 오후 가만히 노래를 흥얼거리는 그들에게 바치고 싶습니다.
<작가 소개>
안드레스 펠리페 솔라노 Andrés Felipe Solano
콜롬비아 보고타에서 태어나 로스안데스 대학에서 문학을 전공했다.
2007년 첫 장편소설 『나를 구해줘, 조 루이스』를 발표한 후, 『쿠에르보 형제들』과 『네온의 묘지』를 출간했다.
이듬해 콜롬비아 메데인의 공장에서 반년간 일하고 지낸 기록 『살라리오 미니모』를 발표했다.
2010년 영국 문학잡지 그란타의 스페인어권 최고의 젊은 작가 22인에 선정되었으며
한국에서의 삶을 기록한 에세이 『한국에 삽니다』로 2016년 콜롬비아도서상을 수상했다.
서울에 거주하며 문학을 가르친다.
Andrés Felipe Solano는 소설가이자 저널리스트입니다.
소설 구해줘 조 루이스(Alfaguara, 2007)와 쿠에르보 형제(Alfaguara, 2012)의 저자.
그의 기사는 SoHo, Arcadia, Gatopardo(멕시코), La Tercera(칠레), Babelia-El País(스페인), Granta(스페인, 영국), The New York Times Magazine 및 Words Without Borders( 미국). 가입).
2008년 그는 Gabriel García Márquez가 의장을 맡은 기관인 New Ibero-American Journalism Foundation Award의 최종 후보였습니다.
그의 연대기 6개월 최저 임금은 라틴 아메리카 최고의 저널리즘(FNPI-FCE, 2009) 및 현재 라틴 아메리카 연대기의 선집(Alfaguara, 2012). 2016년에는 그의 작품 Korea: notes from the 줄타기(Diego Portales University Editions, 2015)로 콜롬비아 내러티브 도서관 상을 수상했습니다.
Andrés Felipe Solano는 GRANTA 잡지에 따르면 스페인어 최고의 젊은 내레이터 중 한 명입니다.
Gabriel García Márquez가 의장을 맡은 New Journalism Foundation에서 Indies의 New Chroniclers 중 한 명으로 선택했습니다.
<역자> 이수정
서울대학교에서 국악을 전공했다.
한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어를 가르치다가 안드레스 솔라노를 만나 3년간 콜롬비아에 거주했다.
이후 스페인 살라망카 대학에서 한국 대중음악을 주제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마드리드에 있는 한국문화원에서 연구원이자 프로그래머로 활동했다.
현재 서울에서 음악기획자로 일한다. 『대중음악 히치하이킹하기』를 썼고,
『한국에 삽니다』, 『열병의 나날들』을 옮겼다.
<편집자> 김미래
기획, 인터뷰, 브랜딩 등 경계 없이 일하지만, 그 중심에는 쪽프레스와 고트가 있다.
『호주머니 속의 축제』(민음사, 2019)의 헤밍웨이 부부 같은 인상으로 솔라노와 이수정 부부를 인식하고 있다.
여유와 노동을, 콜롬비아와 한국을, 가족과 저작–번역 협업 관계를
스위치해나가는 그들은 안정적이기보다 늘 자유로워 보인다.
‘최저임금’이라는 건조하고 간명한 우리말로 옮기고 나면,
이 기록에서 나고 들리는 시큼한 땀냄새와 남미 리듬이 지워질 것 같았다.
그래서 콜롬비아의 음식이나 춤곡 이름이라고 해도 속을 ‘살라리오 미니모’라는 꽤 묘한 제목으로 이 책을 소개한다. 『살라리오 미니모』는 정의 (正義, 定義)를 담지 않았기에,
읽은 사람으로 하여금 오히려 그것들을 모색하게 하는 글이다.
<발행인> 김태웅
쪽프레스와 고트를 운영한다.
솔라노가 6개월간 메데인에서 지내던 2007년, 나는 열아홉 살이었고,
서울에서 최저임금을 받으며 파트타임 생활을 하고 있었다.
이 책에 묘사된 사람들과 달리, 나는 오히려 무지막지할 정도의 가능성을 헤매고 있었다.
15년이 흐른 지금도, 정해진 저녁과 정해진 내일은, 나에게 없는 것 같이 느껴진다.
『살라리오 미니모』조차 나에게는 익숙하지 않은 작가, 번역가, 디자이너와 손발을 맞추는 낯선 무엇이었다.
책에 실으면 좋겠다고 가져온 수백 장의 폴라로이드 사진들을 함께 추리며,
낮부터 차가운 맥주를 마실 때는 폴라로이드 속 솔라노와 함께 있는 기분이었다.
<디자이너> 강문식
그래픽디자이너. 종이를 별미로 삼는 염소에게 가장 먹음직해 보일 책을 목표로 이번 작업을 수행했다.
쪽수: 152p
판형: 128*182mm
가격: 19,800원
살라리오 미니모 / 안드레스 펠리페 솔라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