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이 책은 전북 지역을 배경으로 그린 만화/웹툰 작품을 찾아 리뷰하고,
전북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화/웹툰 작가를 찾아 인터뷰해 이들의 목소리를 기록했다.
《해망굴 도깨비》, 《그녀의 심청》, 《나는 공산주의자다》, 《정가네 소사》 등 7편의 작품 리뷰와
2021년 ‘오늘의 우리만화상’ 수상작가인 《지역의 사생활 99》의 불친과 불키드,
다음웹툰연재작인 <조류공포증>의 조눈과 리도, 전북웹툰캠퍼스의 멘토 작가인 진재원까지 전북 지역에 거주하며 작품과 교육 활동을 활발히 하고 있는 다섯 작가의 인터뷰를 실었다.
만화 작품 리뷰에서는 전주, 군산, 김제, 정읍, 부안 등의 장소 풍경을 탐색하고,
작가들과의 인터뷰에서는 지역의 만화 창작환경에 대한 진솔하고 생생한 이야기를 가감없이 담았다.
지역의 눈으로 만화/웹툰 작품 비평 시도
지역의 눈으로 만화/웹툰 읽기’라는 부제가 붙은 《칸과 홈의 세계로 바라본 전북》은
지금까지 전북 지역의 문화예술 영역에서는 그리 주목하지 않았던,
만화/웹툰 작가와 작품을 대상으로 문화 비평(리뷰)을 시도하고,
전북 지역에 기반을 둔 만화/웹툰 작가를 발굴하여 인터뷰하고 이를 기록한 첫 책이다.
《해망굴 도깨비》, 《그녀의 심청》 등 전북을 배경으로 한 작품과 동시대 인기작 리뷰총 7편의 작품을 리뷰했는데
이중 6편은 전북 지역을 배경으로 한 ‘작품 읽기’를 시도한 것이고 1편은 동시대 인기작을 지역의 환경과 엮으며
‘지역 읽기’를 시도한 것이다.
이들 작품은 오랫동안 지역에 거주하며 공부해온 여성 비평가의 프리즘을 통과하며 입체적이고도 다채롭게 읽힌다.
일제강점기의 군산을 배경으로 성착취 여성들의 해방을 그린 불친 작가의 《해망굴 도깨비》,
부안 출신 비전향 장기수 허영철 선생의 생애사를 만화로 각색한 박건웅 작가의 《나는 공산주의자다》,
작가의 가족사이자 김제와 부안, 임실 등 전북의 곳곳을 이야기의 무대로 끌어온 정용연 작가의 《정가네 소사》,
전주막걸리를 소재로 하고 전주 남부시장을 주요 배경으로 한 이종규·김종회의 《대작》,
전주의 마지막 권번기생인 남전 허산옥의 이야기를 그린 조원행의 《권번 기생 비밀의 기억》 등의 작품을 리뷰했다.
《지역의 사생활 99》로 2021년 ‘오늘의 우리만화상’ 수상한 불친과 불키드 작가 개별 인터뷰,
다음웹툰 인기작 <조류공포증>의 조눈과 리도 작가의 본격 인터뷰 작가들과의 인터뷰에서는
지역의 만화 창작 환경과 작가의 작품 세계관에 대한 진솔하고 생생한 이야기를 가감없이 담았다.
먼저 전문 독립만화출판사이자 군산에 둥지를 틀고 2019년에 출범한 ‘삐약삐약북스’의 불친과 불키드와의 개별 인터뷰를 실었다.
이 두 작가는 비수도권 지역의 이야기를 담은 시리즈작 《지역의 사생활 99》를 기획하고 펴냄으로서 2021년 ‘오늘의 우리만화상’을 수상한 작가들이기도 하다.
《해망굴 도깨비》를 비롯해 성착취 여성들의 서사를 기획하고,
사회변화를 위한 작품을 꾸준히 그려내고자 하는 불친 작가의 세계 의식과 지역의 장소성을 만화로 담으며
이를 다른 작가들과 함께하길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는 불키드의 작품관을 들어볼 수 있다.
이들뿐만 아니라 현재 다음웹툰에 매주 업로드되고 있는 인기 연재작 <조류공포증>의 작가 조눈과 리도의 인터뷰도 만날 수 있다.
현재 두 작가는 전북대 근처에 작업실을 두고 <조류공포증>시즌2를 그리는데 매진하고 있는데,
인터뷰에서 각종 공모전 도전과 실패기,
시즌1의 작품 탄생 비화부터 여성캐릭터 ‘채빈’을 둘러싼 두 작가의 다른 결말과 그 논쟁,
지역 만화가로서의 고민과 포부 등을 솔직하면서 또렷하게 밝혔다.
한편 이 책은 (재)전라북도문화관광재단 2021년 지역문화예술육성지원 사업 지원작이기도 하다.
<저자 소개>_김은혜
글쓰기 강사, 만화 연구자, 여성주의 교육 활동가
전북 전주에서 다섯 명의 여성 문학박사들이 모여 만든 독립연구단체인 ‘지식공동체 지지배배’와
민주주의와 여성주의의 합일을 도모하는 (유)전북민주시민교육센터 ‘바스락’의 일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글쓰기와 만화, 여성주의를 하나로 잇는 작업에 가장 관심이 많다.
저서로 만화웹툰작가평론선 『신일숙』(2019)을 썼고,
‘지식공동체 지지배배’의 일원과 『(공감에서 통감으로) 문학으로 잇다』(2020),
『문학으로 바라보는 재난의 현대사 : 역사 속 타자들』(2021) 등을 함께 썼다.
‘바스락’의 일원과 전주시사회혁신센터 성평등 생활연구 「전주시 중학교 학교생활규정에 나타난 젠더레짐」(2019)를 함께 진행하고 썼다.
<목차>
들어가며
REVIEW_ 전북의 눈으로 만화/웹툰 읽기
일제강점기 수탈의 역사와 겹쳐 쓴 성착취史, 불친의 《해망굴 도깨비》
부안 출신 비전향 장기수 허영철의 생애사와 근현대사, 박건웅의 《나는 공산주의자다》
세밀화로 그린 다수 민중들의 역사, 정용연의 《정가네 소사》
성장촉진제가 된 삶의 축구, 윤태호의 《리더스 유나이티드》
전주의 맛과 멋, 풍경을 담근 막걸리 만화, 이종규·김용회의 《대작》
전주의 마지막 권번기생 남전 허산옥 이야기, 조원행의 《권번기생 비밀의 기억》
가부장제를 뚫고 나온 그이들의 목소리, seri·비완의 《그녀의 심청》에 부쳐
INTERVIEW_ 이웃집에 작가가 산다
성착취 피해 여성들의 목소리를 그리는 작가, 불친
지역을 조감하는 밝은 눈의 작가, 불키드
기괴한 낯설음으로 세계를 다시 보는, 조눈과 리도
보이는 것 ‘너머’를 사유하는 작가, 진재원
<책 속으로>
불친 작가는 과거의 인물 박옥금에게는 펜을 쥐어주며 여성의 눈으로 정치적 상상력을 발휘해 소설을 쓰게 하고,
일본 여성 고하쿠에게는 국경을 넘나들며 성착취 가해 위치에 서있는 아버지에 대항하도록 해 연대자의 자리를 보여 준다.
그리고 현재 죽지 않고 살아 남아 있는 ‘위안부’ 여성 박숙희를 ‘여성인권운동가’로 호명하며
대중에게 성착취의 역사를 증언하는 발화자 위치에 서게 한다.
등장하는 모든 주요 여성들을 사회 변화를 촉진하는 운동하는 주체로 형상화 한 것이다.
작품집의 끝에서 ‘개인은 작지만, 계속 말하고 행동하고 노력하다보면
어느 순간 우리가 사회를 바꿀 수 있지 않을까요?’라고 밝힌 작가 불친의 이 말은,
만화 속 여성 인물들의 행동과 연결되며, 작품 쓰기로 사회에 발언하고자 하는 작가의 사회의식과도 맞닿는다.
지역 안에서 애써 외면하고 있는 이야기를 서사로 끌어내 보여준 만화 《해망굴 도깨비》는 우리가 살고 있는 지역에 바로 이들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리고 이들과 연대하 는 작품이다. 바로 이 이야기 속 ‘해망굴 도깨비’처럼.
-24-25쪽
웹툰 《그녀의 심청》은 그간 남성중심 시각에서 기획·각색·유통되어 왔던 심청의 서사를 정면으로 되받아친다.
이 서사의 근간에 투영되어 있는 것은 2015년 이후의 한국 사회를 살아가고 있는 여성 시민들의 정서와 페미니즘 운동 정치다.
심청을 비롯해 이야기에 등장하는 여성들, 승상 부인이나 며느리나 뺑덕어멈은 남성으로부터
신체 폭력을 직접적으로 받고 살해 위협에서 탈출해 살아남은 생존자들이기도 하다.
이들은 여성이라서 죽임을 당한 ‘강남역 살인 사건’ 이후 ‘너는 나다’, ‘나는 운 좋게 살아남았다’라는 통감의 언어로 광장에서 말하기 시작한, 이름을 감춘 수많은 여성들의 모습과도 겹친다. -95쪽
<저자의 한마디>
예전이나 지금이나 전북 지역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을 살펴보는 것은 전북을 그린 만화 작품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를 목록화 하여 이들의 성질을 구체적으로 드러내 보이기 위해서다.
전북에 거주하고 있는 작가를 찾아 인터뷰 했던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이들의 ‘존재 있음’을 확인하고 이들의 목소리를 기록하여 드러내 보이기 위해서다.
이들이 어떤 환경에서 어떤 생각으로 어떻게 작업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이 정말 그리고자 하는 작품 세계는 어떤 것인지.- 들어가며
칸과 홈의 세계로 바라본 전북 / 김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