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각 셀렉션 <_;COMO MATILDA>

이사각 셀렉션 <_;COMO MATILDA>​ 이사각이 고르고 골라 쓰고 있는작품과 상품 사이, 그 어디쯤​이사각 셀렉션<_;como matilda>​반갑습니다. 「이사각」 박현주입니다. 「이사각」은 예술을 기반으로 동료들과 함께 유·무형의 작업을 기획하고 제작합니다. 공간과 작업, 일상의 가치를 발견하는 디자인을 지향하죠. 「사각」은 ‘보고 싶던 장면과 현상’. ‘알고 싶었던 장면과 현상’ 을 보겠다는 바람의 ’scene’을 의미해서 활동이나 작업 과정을 뜻하기도 합니다. 물론, 사각 프레임 안 「이사각」이 작업한 그림과 그래픽도 포함이죠. 이번 「이사각」의 ‘사각’은 이래요. 제가 사서 쓰고 있는 작품과 상품 사이, 그 어디쯤 오브제를 만든 창작자에게 묻습니다. 왜, 어떻게 이런 작업을 하게 되었는지, 이 길이 내 길이다~ 싶었던 순간은 어땠는지, 지금은 어떤 마음으로 작업하고 있는지 등이요. 중요한 건 작품과 상품 사이라는 건데요. 작품이라기엔 기능이 있고, 사용에 목적을 둬서 아주 잘 고 있지만 상품이라고만 하기엔 너무 정성스러워 시선이 멈추는 그런 아이들입니다.​​「이사각」박현주가 묻고 「_;como matilda」현지윤이 답해요.​Q. 브랜드 이름과 판매하고 있는 작업물을 설명해 주세요. 필요하다면 자기 소개도요.안녕하세요. 저는 스페인에서 꼬모마틸다 라는 브랜드를 운영 하고 있는 도예가 현지윤이라고 합니다. 제가 있는 곳에서는 마틸다라고 불려서 이 브랜드 이름이 탄생한 거기도 합니다. 저는 주로 물레로 컵, 접시,요거트 볼 같은 식기류를 많이 만들고 있고, ’고르디’라는 화분도 제작하고 있습니다. 또 귀걸이도 만들구요. 음.. 도자로 할 수 있는 건 다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ㅎㅎ저는 Cuerda seca(꾸에르다 쎄까)라는 스페인 전통 테크닉의 변주인 Falsa cuerda seca(팔사 꾸에르다 쎄까)라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저만의 느낌을 나타내는 작업물이 나와서 만족하는 반면 작업하는 과정이 좀 복잡하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습니다.​Q. 고르디가 뭔가요?고르디는 제 작업 중 지금 유일하게 반복하고 있는, 수영하는 여자 형상을 한 화분이예요. ‘고르도’ , ‘고르다’라는 뜻이 형용사로 뚱뚱한 이라는 뜻인데 좀 더 귀여운 느낌을 담아 이름을 ‘고르디’라고 지어줬습니다.​Q. ‘꾸에르다 쎄까’, ‘팔사 꾸에르다 쎄까’는 한국에서 쓰는 기법이 아닌가요? 이 기법의 어떤 부분이 매력적이었나요? 꾸에르다 쎄까는 스페인의 전통 테크닉 중의 하나예요. 한국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기법이죠. 안료나 화장토로 그림을 그리고 위에 투명 유약을 씌우는 보통의 기법과 달리 유약으로 그림을 그리는 거예요. 보통의 꾸에르다 쎄까는 기름을 섞은 검정 안료로 그림의 아웃라인을 딴 후 그 안에 유약으로 색을 채우는 거예요.배웠을 때 재밌다고 생각은 했는데 너무 알록달록한 색깔과 저 까만 선이 마음에 들지 않았어요. 그러다가 졸작을 하는 중 많은 레퍼런스들을 찾아보다가 팔사 꾸에르다 세까도 있다는걸 알게됬어요. 팔사는 스페인어로 거짓이라는 뜻인데 풀어보면 거짓 꾸에르다 쎄까 라는 말이 되겠네요 ㅎㅎ 유약으로 그림을 그리는 건 맞지만 전통 기법과 똑같은 게 아니라는 의미예요. 하는 과정은 좀 복잡하지만, 여느 도자기와 같은 느낌이 나지 않아서 좋아하며 사용하고 있는 기법입니다.​Q. 어쩌다 브랜드를 만들고 운영하시게 되었나요?저는 대학 때부터 공예 전공이었습니다. 금속과 섬유를 전공을 했었는데, 그때부터 자연스럽게 판매에 대한 생각과 연결 지어지면서 브랜드를 가져야 하겠다는 생각을 막연하게는 하고 있었던 것 같습니다. 아마 모든 공예를 하는 사람이나 디자인을 하는 사람이 가지는 어떤 자연스러운 수순이었던 것 같아요. 꼬모 마틸다라는 이 브랜드는 도자를 시작하기 전, 금속을 하고 있을 때부터 가지고 있었던 브랜드예요. 꼬모 라는 뜻은 스페인어로 무엇무엇 처럼 , 무엇무엇 같은 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마틸다처럼, 마틸다같은 이라는 뜻이예요. 이름 앞의 언더바와 쌍반점 ( ; )이 있는데, 이 쌍반점은 한국에서는 안 쓰는 문장 기호더라고요. 스페인에서는 앞의 어떤 단어나 문장을 설명하거나 설명을 추가할 때 쓰입니다. 그래서 앞의 언더바에 어떤 물건이나 작업 대상이 들어가더라도 마틸다만의 느낌으로, 마틸다처럼 만들겠다는 뜻인데 그게 금속에서 도자로 확장된 거죠.​Q. ‘아, 이게 내 길이구나'를 생각하게 한 결정적인 작품을 소개해 주세요. 또는 ‘아, 이제 나 프로구나’ 했던 순간을 나눠주세요.음, ‘아, 이게 내 길이구나’ 라는 생각을 한 작품은 사실 딱히 생각이 안 나는데, 흙을 처음 만지는 순간, 그리고 물레를 배우는 순간, ‘아, 이게 나한테 맞는 물성이구나’ 라는 생각은 강하게 들었어요. 저는 그전까지 금속을 주로 다뤘는데, 금속공예라는 자체가 맞지 않았던 건 아니었어요. 앉아서 뭔가를 만드는 걸 좋아하고 손을 쓰는 걸 좋아하고 작업하는 행위 자체를 좋아하는데, 금속을 다룰 때마다는 사실 그 물성이 주는 특징 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거든요. 1밀리 각이 안 맞을 때 오는 그 정확하지 못함에서 오는 나에 대한 실망감부터 시작해서, 마감까지 계속 그런 걸, 정확함을 생각해야 하는 등등 ㅋㅋㅋㅋㅋ 굉장히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면서 작업을 했던 거 같아요. 하지만 도자의 경우, 흙은 완전히 마르기 전까지 나에게 유효기간을 주는 느낌이었어요. 심적으로 편하니 작업이 더 재밌어 지기도 하고 이것저것 더 만들어보고 싶기도 하고 그랬던 것 같아요. 그래서 도자를 제대로 배우는 순간, ‘아, 나는 이 길이 맞구나’, ‘이 길로 쭉 나가야겠구나’를 느꼈던 것 같아요.프로라고 생각했던 순간…이라기보다는, 이제 진짜 프로의 길로 제대로 해야겠다고 생각했던 순간은 브랜드를 가지고 아예 모르는 사람에게 판매를 시작했을 때. 그때 오는 약간의 부담감이 있었던 것 같아요. 쓰는 데 문제가 없었으면 좋겠고, 잘 사용했으면 좋겠고, 편하게 썼으면 좋겠고 이런 것들에 대한 생각이 막 드는데, 아, 정말 내가 제대로잘 만들어서 팔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Q. 같은 작업(같은 그림이나 시리즈로 그리는 작업이 극히 드물다)은 안 하던데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도자 작품 판매로 돈을 벌고 싶은 게 맞을..까요?이건 사실 저에게 정신적인 질환이 있다고 보는 게 맞는 것 같아요. 도자 작품으로 돈을 벌고 싶은 건 맞는데,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하는 것에 대해서 싫증을 굉장히 잘 느껴요. 이걸 이겨내야 판매하고 수익이 생긴다는 걸 알지만, 이건 약간.. 살짝.. 저에게 작가적인 성향이 있다는 걸 느끼는 부분인 것 같아요. 순수예술을 목적으로 하는 작가가 되고 싶지 않지만 약간 그것에 대한 동경이 있는 느낌이랄까. 자꾸 새로운 걸 하고 싶고 새로운 걸 해야 할 것만 같은 느낌이 항상 강하게 들어요. 근데 이건 머리로는 그러면 안된다는 걸 알지만 가슴에서 그렇게 시키는 일이라 저도 어떻게 할 수 없더라고요. 그래도 많은 부분을 받아들이고 이제 같은 작업을 좀 반복해서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렇게 하려고 무던히 노력하는 중입니다. ㅎㅎ​Q. 순수 작업과 상품 판매에 대한 고민이 있을 것 같은데요. 경험을 나눠주세요.순수 작업과 판매에서 고민한 경험은.. 사실 딱히 없습니다. 저는 공예를 시작한 순간부터 순수를 지향하지는 않았어요. 공예라는 자체가 뭐랄까, 순수와 디자인의 경계에 있는 아이기는 한데, 아 우선 그 공예라는 자체가 쓰임이 있어야 하거든요. 저는 그렇게 생각해요. 그래서 저는 좀 더 쓰임이 있는 물건을 만드는 것에 더 가치를 뒀고, 근데 쓰임이 있는 걸 만들었으면 쓰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니까 판매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거죠. 그래도 뭔가 많은 사람이 썼으면 좋겠으니까 많이 만들어야 하는데 공예인의 베이스로서 공장에서 돌리는 건 싫고 내가 다 만들어야 하니까 많이는 못 만들고ㅋㅋ 그러니까 많이 못 팔고 ….하지만 무조건 저는 쓰임이 있는 것을 만들기를 원해요. 하지만 약간 작가의 노동을 곁들인 ㅋㅋ​Q. 지금은 어떤 마음으로 작업하고 있나요? 작업하는 것 자체라거나, 작업하는 나의 모습이라거나, 일상의 나와 창작자로서 나의 차이라거나.. 괴리감..?같은 거라거나 창작자로서 작업 과정과 작품이 만족스럽나요?음… 지금은 뭐라고 해야 할까요.. 지금은 좀 더 생산자의 마음을 가지고 작업을 하려고 노력해요. 좀 지루하더라도 반복적인 작업을 해보자는 마음이에요. 일상의 나와 작업하는 나는 굉장한 차이가 있어요. 일상의 나는 같은 일상의 반복이 전혀 지루하지 않고 심지어는 음식도 매일 똑같은 걸 먹어도 상관이 없는 게으름뱅이에 무신경한 스타일이라면, 작업자로서의 나는 반복적인 그림을 그리는 걸 싫어하는 약간 이중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네요 ㅎㅎ지금 당장은 작업 과정이 좀 힘들어도 결과물은 만족스러운 것 같아요. 하지만 또 저의 문제는 굽고 나서 바로 보는 제 결과물은 항상 맘에 안 들어요. 근데 그걸 아주 나중에 다시 보면 굉장히 만족스럽답니다. 이건 왜그러는걸까요..? 저도 잘 모르겠지만.. 아주 나중이라도 만족스럽다면 그건 만족스러운 거 아닐까요..? ㅎㅎ​Q. 작업하는 모습이 궁금합니다. 작업 공간이나 작업실에서 볼 수 있는 풍경을 엿볼 수 있을까요?‥ 현지윤 @comomatilda

DASIBOOKSHOP

logo
LOG IN 로그인
  • SHOP
    • BOOK
    • USED
    • COLLECTED
    • PROGRAM
    • menmeiz
  • PROJECT
    • PUBLISH
      • WORKS
        • Teach & Lecture
        • WRITE
      • WEBZINE
        • ABOUT

          DASIBOOKSHOP

          logo
          • SHOP
            • BOOK
            • USED
            • COLLECTED
            • PROGRAM
            • menmeiz
          • PROJECT
            • PUBLISH
              • WORKS
                • Teach & Lecture
                • WRITE
              • WEBZINE
                • ABOU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DASIBOOKSHOP

                  logo

                  DASIBOOKSHOP

                  logo
                  • SHOP
                    • BOOK
                    • USED
                    • COLLECTED
                    • PROGRAM
                    • menmeiz
                  • PROJECT
                    • PUBLISH
                      • WORKS
                        • Teach & Lecture
                        • WRITE
                      • WEBZINE
                        • ABOUT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DASIBOOKSHOP

                          logo
                          페이스북
                          카카오톡
                          네이버 블로그
                          밴드
                          Terms of Use
                          Privacy Policy
                          Confirm Entrepreneur Information

                          Company Name: 다시서점 | Owner: 김경현 | Personal Info Manager: 김경현 | Phone Number: 070-4383-4869 | Email: dasibookshop@nate.com

                          Address: 서울특별시 강서구 공항대로8길 77-24, 지하1층 |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101-91-40768 | Business License: 2017-서울강서-1218 | Hosting by sixshop

                          floating-button-img